Sub4Sub network gives free YouTube subscribers
Get Free YouTube Subscribers, Views and Likes

공부법탐구 ④ / 떠들썩한 교실...수업을 바꾸다 (2010.07.27 방송) [KBS시사 BACK]

Follow
KBS시사

1. 기획의도
서울에서 중학교를 다니는 7백여명의 학생중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는 비율은? 30%에 불과하다. 70%의 학생은 그나마 모르는 것을 교사에게 묻지도 못한다 (한국교육평가원 홍미영 박사팀 조사결과). 그런데도 일부 학교는 쉬는 시간까지 줄여 수업시간을 늘리고 있다. OECD 국가중 공부하는 시간은 가장 길지만 공부시간 대비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는 학습효율화 지수는 비교 대상국 가운데 하위권을 면치 못한다.

오래 공부하지만 학습 효율은 떨어지고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조차 이해하지 못하는 아이들. 이유는 무엇일까? 교사와 교육 전문가 모두 ‘수업방식’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교사 혼자 일방적으로 지식을 쏟아 놓는 주입식 수업이 아이들을 수업에서 멀어지게 하고 학습 효율을 떨어트린다는 것이다. 이른바 ‘학생주도형 수업’이 해법이라는 것. 창의적인 인재,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자기주도형 학습이 가능한 학생을 키우기 위해서라도 교사위주의 주입식 수업이 학생 주도형 수업으로 바뀌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교육경쟁력 최강국, 핀란드 수업 특징도 주도권이 교사가 아닌 학생에게 주어지고 일본 역시 ‘배움의 공동체’ 등의 교육실험을 통해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해답을 찾아가는 경쟁력 있는 수업을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새로운 수업, 학생 주도형 수업을 향한 실험이 조금씩 시작되고 있다. 아이들을 외면하는 수업은 어떤 문제를 초래하고 또 아이들의 주도권을 갖는 수업은 어떤 변화를 초래하는가? ‘학생 주도형 수업’으로 불리는 새로운 교육실험의 현장을 찾아 그 가능성과 과제를 확인한다.

2. 주요내용

① 수업에서 소외받는 아이들. 30%만 수업내용을 완전히 이해한다.
학교 수업시간을 관찰했다. 졸고 딴짓하고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적지 않지만 교사는 준비해온 지식을 열심히 쏟아 놓는다. 교사가 지식을 쏟아놓고 아이들은 수동적으 로 따라갈 수 밖에 없는 수업 이해도도 학습효율도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최근 홍미영(한국교육과정평가원)박사팀이 서울 중학생 7백여명을 대상으로 ‘수업이해도’를 확인한 결과 수업 내용을 다 이해하는 학생은 30%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② 교육경쟁력 최강국, 핀란드의 해법을 확인하다.
OECD 국가중 가장 적은 시간을 공부하지만 학업성취도는 최고. 학습효율화 지수 역시 최고. 그렇다면 수업 풍경은 어떻게 다를까? 학생과 교사는 수업 중에 끊임없이 대화하고 배운 내용을 모르면 언제든 질문한다. 학급당 학생 수가 적고 수업시간도 과목당 75분 이른바 블록수업으로 배운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돕고 있다. 학교에 따라 1년을 다섯 학기로 나눠 학기당 과목수를 줄이는 것도 학생들이 공부 부담을 줄이는 대신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것. 5년전부터 핀란드에서 살기 시작한 교포가정의 학생 최안희(14)는 학원 없이도 스스로 공부하는 즐거움을 알아가고 있다고 밝힌다.

③ 교사들도 인정한다. 그리고 고민한다.
5년째 ‘수업분석’ 등 학교수업의 문제를 고민해 온 교사모임에서 만난 수학교사들도 수업이 학생위주가 아닌 교사 위주, 스스로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기 보다는 주입식으로 진행된다고 인정한다. 그리고 다른 수업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④ 프로젝트수업 실험. 아이들 스스로 공부하게 하라.
5년전부터 ‘프로젝트 수업’을 실험해 온 남대구 초등학교. 교과서 범위 안의 수업을 진행하되 일정한 주제에 대해 아이들 스스로 자료를 찾고 실험이나 다양한 현장학습을 시도해 나름의 결과물을 얻어내도록 한다. 수업을 이끌어 나가는 것은 교사가 아니라 아이들이다. 교사는 ‘가르치고 싶은 욕구를 참는 일이 가장 어렵다’고 밝힌다.

⑤ 학생들끼리 배우면서 성장하게 하라. ‘배움의 공동체’를 실험하는 일본.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아이들],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등의 저서를 베스트 셀러 목록에 올리며 수업을 통해 아이들을 바꾸고 학교를 바꿀 수 있다고 주장하는 그리고 실제로 실험하고 있는 도쿄대 사토 마나부 교수. 만여개의 수업관찰을 통해 수업에서 아이들이 왜 소외받는지를 분석하고 아이들을 성장시키는 수업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배움의 공동체’라는 실험으로 확인해 가고 있다. 스스로 배우고 서로 배우는 아이들은 학교생활을 잘 해나갈 뿐 아니라 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건강한 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다고 그래서 ‘수업변화’는 필요하다고 사토 마나부 교수는 강조한다.

⑥ 장곡중학교의 수업 실험. 수업이 달라지면 아이들이 달라진다.
‘배움의 공동체’를 한국에 맞는 방식으로 응용하고 있는 경기도 장곡중학교. 수업이 바뀌면서 가장 크게 변한 건 아이들의 눈빛이라고 교사들은 말한다. 그러나 이런 다른 수업을 위해 교사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수업 밖의 여건들도 함께 변했다. 학교장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다른 수업을 위해선 교사뿐 아니라 학교당국, 교육당국이 바뀌어야 한다고 교사와 전문가는 분석한다.

⑦ 수업만족도 1위, 한가람 고등학교에서 확인한 수업의 조건.
서울시내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수업만족도 1위를 차지한 한가람고등학교. 학급당 교실을 없애는 대신 과목전담교실을 설치하고 교과선택제를 도입해 학생 대부분의 자신들이 스스로 선택한 교과목을 공부한다. 학교에 대한 자율권 인정 그리고 학교당국의 지원, 교사의 자율권 인정 등의 조건이 조합되면서 다른 학교 다른 수업은 가능해졌다

#수업 #공부법 #공부 #배움 #학습법 #학습 #교육 #교육경쟁력 #학생 #전교1등 #공부방법 #학습권 #kbs시사 #시사기획창 #kbs시사back #자율학습 #자율권

posted by paralelaun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