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4Sub network gives free YouTube subscribers
Get Free YouTube Subscribers, Views and Likes

타민족 영역이던 이 땅들은 왜 중국 영토가 되어버렸을까? 중국 소수민족 잔혹사 몰아보기..

Follow
별별역사

[참고문헌]

1. 신장위구르 자치구 편

표나리, 「시진핑 시기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과 한·중 간 역사 갈등: 조선족 요인을 중심으로」, 『정책연구시리즈』 2021, 2022.
강창구, 「중국정부의 소수민족정책」, 『중국인문학회』, 2021.
김재기, 「동투르키스탄(East Trukistan) 분리독립 운동과 중국의 대응」, 『한국동북아논총』 12, 2007.
김영구,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의 신장 위구르사회에 대한 강경 정책의 심화 과정 : ‘거극단화’의 달성을 목표로 한 종교정책의 추이를 중심으로」, 『중국연구』 78, 2019.
우덕찬, 「신강 무슬림 위구르의 분리주의운동」, 『중앙아시아연구』 13, 2008.
국민호, 「중국몽(中國夢)과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국제학술회의』 2018.
허흥호,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구상과 전략: 발전과 한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2019.
구소영,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과 신장위구르자치구의 개발」, 『대구사학』 135, 2019.
허흥호,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추진과 중국경제 위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 2019.
김소중, 『中國少數民族』, 대전: 배제대학교, 2007.
정재남, 『중국의 소수민족』, 파주: 살림, 2008.
제임스 A. 밀워드, 김찬영(역), 『신장의 역사: 유라시아의 교차로』, 파주: 사계절, 2013.
오홍엽, 『중국 신장: 위그르족과 한족의 갈등』, 서울: 친디루스연구소, 2009.
마크 C, 엘리엇, 양휘웅(역), 『건륭제』, 서울: 천지인, 2011.
팀 마샬, 김미선(역), 『지리의 힘 : 지리는 어떻게 나라의 운명을, 세계의 분쟁을, 우리의 선택을 좌우하는가』, 서울: 사이, 2022.



2. 티베트 자치구 편

박장배, 「‘新中國’의 티베트 정책」, 『중국근현대사연구』 39, 2008.
고성빈, 「티베트분쟁: 중국의 담론패권 vs. 티베트인의 자유의지」, 『국제.지역연구』 23, 2014.
박장배, 「民國初期 중국의 티베트 정책」,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6.
김미성, 「소프트파워 관점에서 본 만주어의 소퇴 과정과 소퇴 원인 고찰」, 『동아인문학』 53, 2020.
김현주, 「손문의 ‘중화주의적’ 민족주의의 본질과 한계」, 『동방학』 2014.
왕시영·오재일, 「중국 민족구역자치제도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31, 2017.
김재기, 「중국의 민족문제와 티베트 이슈」, 『한국동북아논총』 2004.
최지영, 「중국의 티베트 정책 고찰(1949~2008)」, 『국제정치논총』 49, 2009.
이대성, 「중국의 패권주의」, 『융합보안 논문지』 20, 2020.
김용신, 「지정학의 신사고와 그레이트 게임」, 『글로벌교육연구』 14, 2022.
김선민, 「청 제국의 지배이념과 지배체제」, 『史叢(사총)』 2016.
김재기, 「티베트의 중국으로부터 분리독립 운동의 기원과 전개」, 『대한정치학회보』 13, 2006.
민병삼, 「티벳 불교의 형성과 발전」, 『중국학연구』 28, 2004.
노기식, 「후금의 용동진출 전후 만주와 몽골의 관계역전」, 『중국학논총』 12, 1999.
강창구, 「중국정부의 소수민족정책」, 『중국인문학회』 78, 2021.
김소중, 『中國少數民族』, 대전: 배제대학교, 2007.
김한규, 『티베트와 중국』, 서울: 소나무, 2000.
프랑수아즈 포마레, 김희진(역), 『티베트』, 서울: 시공사, 2011.
정재남, 『중국의 소수민족』, 파주: 살림, 2008.
김한규, 『티베트와 중국의 역사적 관계』, 서울: 혜안, 2003.
마크 C, 엘리엇, 양휘웅(역), 『건륭제』, 서울: 천지인, 2011.
팀 마샬, 김미선(역), 『지리의 힘 : 지리는 어떻게 나라의 운명을, 세계의 분쟁을, 우리의 선택을 좌우하는가』, 서울: 사이, 2022.



3. 내몽골 자치구 편

이평래, 「19세기 말20세기 초기 내몽골 동부의 사회 변화와 하이산」, 『중앙아시아연구』 27, 2022.
이준희, 「20세기 초 몽골 민족주의의 전개 독립 선언에서 임시정부 수립까지 」, 『중국학논총』 2011.
이평래, 「1911년 몽골 독립과 민족 통합 운동의 초기 과정」, 『동양사학연구』 104, 2008.
이평래, 「1911년 몽골 독립과 하이산」, 『대동문화연구』 2011.
孫承會, 「내몽골 문화대혁명과 ‘呼三司’」, 『중국근현대사연구』 85, 2020.
김성수, 「네이멍구자치구內蒙古自治區의 민족문화공정(民族文化工程), 연혁과 전망」, 『동북아역사논총』 2020.
석화정, 「러일 비밀협약과 러시아의 몽골 정책」, 『군사』 2014.
Ts, 체렝도르지, 「몽골제국 시대 이후 몽골이 아시아의 역사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아시아문화연구』 41, 2016.
이평래, 「범몽골주의의 역사적 추이」, 『동북아역사논총』 2020.
김재기, 「삼몽통일론(三蒙統一論)과 중국의 북방공정에 관한 연구」, 『민족연구』 2014.
李康源, 「중국 변강에서 민족과 공간의 사회적 구성 : 어룬춘족 사회의 다민족화와 정체성의 정치」, 『지리학논총 별호』 37, 2000.
윤은숙, 「중국의 북강항목 추진 현황 및 평가」, 『江原史學』 2020.
김선호, 「중국정부의 역사발전 관점에 따른 몽골민족 정책 떵샤오핑(鄧小平) 시대 중앙정부의 내몽골민족정책을 중심으로」, 『몽골학』 2011.
최승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이전, 몽골독립에 관한 중국공산당의 태도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2017.
최진백, 「청조(淸朝)의 제국 통치와 신해혁명, 그리고 중국의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한국정치외교사논총』 45, 2023.
정재남, 『중국의 소수민족』, 파주: 살림, 2008.
김선호, 『내몽골, 외몽골: 20세기 분단의 몽골역사』,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4.

posted by cathylockwoodu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