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 your YouTube channel like a PRO with a free tool
Get Free YouTube Subscribers, Views and Likes

공자 : 난 그렇게 말한 적 없는데;;

Follow
NJT_BOOK

편집 : 장관 (김엽)
디자인 : 차관 (박혜진)
대본 보조 : 국장 (김민정)

[참고 문헌]
인용은 따로 본문에 각주로 표기합니다
꺽쇠 괄호 표기X
박지혜. (2015). 유교사상에 나타난 사회성 교육 고찰 仁, , 恕의 개념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3(2), 117.
장승희. (2019). 유교 행복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윤리연구, 1(127), 128.
유권종. (2000). 유교의 종교적 역할. 철학탐구, 12, 117151.
장동익. (2016). 덕 윤리, 유교 윤리 그리고 도덕 교육. 도덕윤리과교육,(51), 5979.
이일래. (2020). 의례문화의 변화와 공동체성: 유교적 관점에서. 한국학논집, 81, 2960.
민주식. (2016). 유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미. 동양예술, 31, 129156.
이상호. (2022). 유교의 예악론(樂論)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64), 132, http://dx.doi.org/10.18850/JEES.2022....
김우진. (2018). 유교 상속의 공정성: 분재기를 중심으로. 퇴계학논집,(23), 491512.
이은선. (2015). 다른 유교, 다른 기독교. 양명학,(42), 235276.
임헌규. (2016). 유교에서 죽음의 의미 : 논어와 그와 연관된 谷의 해석을 중심으로. 온지논총,(47), 161187.
정미량. (2018). 한국 다문화 교육과 전통 유교 교육 문화의 접맥(接脈). 퇴계학논집, 23, 427458.
채석용. (2018). 유교 윤리의 성(聖)과 속(俗).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12), 477491.
김종만 and 김은기. (2020). 가치관을 통해 본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 유교와 무교를 중심으로. 신학과 사회, 34(3), 193235.
김윤희. (2019). 근현대 유교담론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모색. 현대유럽철학연구, 53, 2963.
장복동. (2021). 유교윤리의 사회통합적 가능성과 한계. 공존의 인간학,(5), 746, 10.37524/HUCO.2021.02.5.7
임영빈. (2023). 한국 종교 지형에서 유교 종교성이 미치는 영향.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11(1), 113157.
김도일. (2018). 유교 가족주의의 이중성. 철학, 135, 122, 10.18694/KJP.2018.05.135.1
이권효. (2023). 매스미디어 뉴스에 나타난 유교의 인식과 이미지 연구. 양명학,(71), 245279.
양명수. (2024). 유교와 기독교 06 (마지막회) 유교와 기독교의 정치사상. 기독교사상, 782, 116137.
심도희. (2023). 유교 덕목을 통한 다문화사회의 통합윤리 연구. 동아인문학, 65, 473495, 10.52639/JEAH.2023.12.65.473
서욱수. (2023). AI 시대의 새로운 존재론과 교양교육의 텍스트 구성 한국 전통 사상과 유교 사상을 중심으로. 탐라문화,(73), 4576.
양명수. (2023). 유교와 기독교 01 유교, 고대 인문주의 철학. 기독교사상, 777, 173191.
이상민. (2023). 고려말 무위(無爲)의 이상정치 지향과 유교적 형정론. 한국사연구,(202), 121155, 10.31791/JKH.2023.9.202.121
조홍석. (2023). 조홍석의 ‘알아두면 쓸데 있는 유쾌한 상식 이야기’ : 조선 유교 사회…나이 서열? 오히려 없었다. 매경이코노미,, 8080.
우준호. (2016). 長幼有序의 意味에 대한 硏究. 중국학논총,(51), 207233.
김성실. (2022). 유교 고대 성왕론에 대한 재해석. 퇴계학논집,(31), 5780.
김순양. (2021). 유교적 가치관에 기초한 동양적 공공리더십에 관한 연구: 한고조(漢高祖) 유방(邦)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5(4), 247269.
서욱수. (2022). 전환시대의 평민유교 Ⅱ 박경리 『토지』 서희와 길상의 갈등과 화해의 메카니즘 . 한국민족문화,(82), 187214, 10.15299/jk.2022.7.82.187
심도희. (2022).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유교의 ‘효’ 윤리 연구. 철학논총, 109, 281294, 10.20433/jnkpa.2022.07.281
김영미. (2022). 유교의 효제윤리와 경로사상, 그리고 노인복지. 동양문화연구, 37, 169192.
서정화. (2021). 유교의 禮學的 탐구를 통한 孝 사상 고찰. 민족문화연구,(93), 121148.
정동화. (2022). 조선시대 수묵회화의 유교적 이상세계 연구.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93, 259296.
신항수. (2022). 1970년대 유교 전통 인식과 충효 정책. 역사와 담론, 102, 5187.
문경득. (2022). ‘조선유학’과 ‘조선유교’ 표현의 개념사. 역사연구,(43), 1353, 10.31552/jh.2022.01.43.13
김경호. (2020). 한국사회의 ‘가족주의’ 담론과 ‘유교 가족주의’에 대한 성찰. 민족문화연구,(86), 391413.
김용흠. (2019). 유교 문화에 대한 오해와 이해. 내일을 여는 역사, 77, 163173.
김동일. (2019). 고전 유교 분배 정의관의 특징과 의미. 정치사상연구, 25(2), 142161, 10.37248/krpt.2019.11.25.2.142
채석용. (2020). 혈연중심의 유교 윤리와 진화심리학적 이타성. 초등도덕교육,(67), 347387.
전종윤. (2020). 유교문화에서의 주고받음의 문제 선물론으로 유교문화 재해석하기 . 남도문화연구,(41), 750.
신정근. (2020). 유교 경학의 전개와 현대적 방향 연구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육변설’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103), 127159.
이상성. (2020). 한국고유사상과 유교(儒敎)의 습합(習合) Ⲻ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를 중심으로 Ⲻ. 한국철학논집,(64), 948.
이용욱. (2020). 네트워크공간의 탈유교이데올로기와 인문교육의 역할. 국어문학, 73, 113141.
이충한. (2020). 유교의 인간관과 사회정의 롤스의 정의의 원칙의 정당화 문제를 중심으로 . 철학논총, 100, 163184, 10.20433/jnkpa.2020.04.100.163
이은봉. (2020). 일제에 의해 강압된 유교 문화 연구 ‘교육칙어’, ‘호주제도’, ‘현모양처’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3, 205231, 10.31323/SH.2020.06.33.08
김충열. (2020). 정치적 필요와 윤리적 이상의 긴장 : 조선시대 유교정치사상사를 위한 분석틀의 모색. 한국정치학회보, 54(4), 167191, 10.18854/kpsr.2020.54.4.007
한재훈. (2020). 한국과 베트남의 유교 수용과 예교 시행 비교.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43(3), 193234.
차미란. (20201023). 근대 개화기 서양 윤리학의 수용과 유교윤리의 변용: 1900년대 수신(修身)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서욱수. (2021). 전환시대의 평민유교. 철학연구,, 181207, 10.20293/jokps.2021.158.181
안승우. (2021). 노인고독사 문제에 대한 유교의 반성적 고찰 ― 유교경전 속 죽음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108), 173201, 10.17299/tsep..108.202111.173
박기순. (1994). 유교에서 본 인간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일 고찰 : 모형정립적 접근. 한국언론학보,(31), 123142.

posted by vedlagdeuh